728x90
반응형
큐(Queue)란?
선입선출 FIFO(First In First Out) 자료구조입니다.
먼저 저장된 값이 가장 먼저 반환되는 구조입니다.
ex) 번호표 뽑아서 순서 기다리기, 화장실 줄서기 등..
Java에서 큐(Queue)의 메소드
- add(E item): item을 저장 후 저장되었으면 true, 그렇지 않으면 exception 처리됩니다.
- offer(E item): item을 저장 후 저장되었으면 true, 그렇지 않으면 false 반환합니다.
- peek():가장 먼저 저장된 item을 반환합니다.
- pool(): 가장 먼저 저장된 item을 반환 후 삭제합니다.
- remove(): 가장 먼저 저장된 item을 반환, item이 없는 경우 exception 처리됩니다.
- isEmpty(): Queue의 item이 존재하는지 확인, 존재하지 않으면 true, 존재하면 false 반환합니다.
ex)
Queue<String> queue = new LinkedList<>();
// Queue에 chicken이라는 item을 저장 후 저장되었으면 true, 그렇지 않으면 exception 처리
System.out.println("queue add >>> "+queue.add("chicken"));
// Queue에 pizza이라는 item을 저장 후 저장되었으면 true, 그렇지 않으면 false 반환
System.out.println("queue offer >>> "+queue.offer("pizza"));
// Queue의 가장 먼저 저장된 item을 반환
System.out.println("queue peek >>> "+queue.peek());
// Queue의 가장 먼저 저장된 item을 반환 후 삭제
System.out.println("queue poll >>> "+queue.poll());
// Queue의 가장 먼저 저장된 item을 반환
System.out.println("queue peek >>> "+queue.peek());
// Queue의 가장 먼저 저장된 item을 반환, item이 없는 경우 exception 처리
System.out.println("queue remove >>> "+ queue.remove());
// Queue의 item이 존재하는지 확인, 존재하지 않으면 true, 존재하면 false
System.out.println("queue isEmpty >>> " + queue.isEmpty());
결과
queue add >>> true
queue offer >>> true
queue peek >>> chicken
queue poll >>> chicken
queue peek >>> pizza
queue remove >>> pizza
queue isEmpty >>> true
728x90
반응형
'개발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트리(Tree) (0) | 2023.01.29 |
---|---|
[자료구조] 링크드리스트(LinkedList) (0) | 2023.01.19 |
[자료구조] 스택(Stack) 이란? (0) | 2022.12.29 |
[자료구조] 배열과 해시테이블의 차이점 (0) | 2022.12.29 |
[자료구조] 해시테이블이란? (0) | 2022.12.29 |
댓글